OS/Linux(39)
-
[장애대처]Root 패스워드 분실했을 경우
[Root 패스워드 분실 했을 경우] 1. Linux 부팅을 진행한다. 2. OS 선택 화면에서 e를 입력하여 EDIT 모드로 들어간다. 3. 부팅 이미지 설정 파일에서 LINUX16으로 명시된 줄 제일 뒤 Line에 'rd.break'를 입력한다. 4. Ctrl + x를 눌러 변경사항을 적용하여 부팅을 진행한다. 5. cmd 모드로 들어가면 mount 명령을 쳐서 현재 /sysroot의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된 부분을 확인한다. # mount | grep sysroot 6. /sysroot에 읽기, 쓰기 권한 부여 # mount -o remount,rw /sysroot 7. 권한 부여 된 것을 확인한다. # mount | grep sysroot 8. /sysroot가 파일시스템으로 인식되게 진행한다. ..
2021.01.12 -
[Command]특정 파일 삭제 Command
[명령어]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delete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exec rm -f {} \;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 xargs rm -f [(응용)현재 디렉토리 365일 이상 된 파일 삭제] - 대상 확인 # find ./ -mtime +366 - 파일 삭제 # find ./ -mtime +366 -exec rm -f {} \; [(응용)현재 디렉토리 사이즈 0 파일 삭제] - 대상 확인 # find ./ -size 0 - 파일 삭제 # find ./ -size 0 -exec rm -f {} \;
2021.01.08 -
[구성]repository 구성
[repository 구성] 1). 필요 패키지 설치(ISO 마운트 하여 진행) # yum install createrepo # yum install httpd 2). repository 공간 생성 및 package 파일 저장 # mkdir /repo # rpm 파일 저장 3). repository DB 생성 # cd /repo # createrepo . 4). http 설정 # cd /etc/httpd/conf.d/ # vi repo.conf # Alias [웹 노출 경로] "[repository 경로]" >> 입력 후 저장 ex) Alias /repo "/repo" 5) 서비스 재시작 [Linux 6] # service httpd restart [Linux 7] # systemctl restart h..
2021.01.08 -
[Command] umount 정리
[umount] 사용법 # umount [파일시스템] ex) umount /Test [옵션] -n : /etc/mtab 파일을 갱신하지 않고 마운트를 해제 -v : 자세한 정보 출력 -a : /etc/mtab 파일에 명시된 모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 -t : 파일시스템의 종류 -at : /etc/mtab파일에 명시도니 모든 파일시스템 중 유저가 입력한 파일시스템만 마운트 해제 [umount 안되는 경우 조치 방법] 1. umount가 되지 않는 경우(busy error 및 해당 파일시스템을 쓰는 경우) 1) 프로세스 및 사용자 확인 # fuser -cu [파일시스템] # fuser -cu /Test 2) 프로세스 및 사용자를 확인 후 불필요하게 파일시스템을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일 경우 kill 진..
2021.01.06 -
[Command]mount 정리
[mount] 사용법 # mount [파티션/Logical Volume] [파일시스템 명] ex) mount /dev/sdb1 /Test [옵션] -a, --all : fstab 파일에 언급된 모든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v, --verbose : 자세한 출력 모드 -f, --fake : 실제 시스템 호출은 하지 않고 마운트할 수 있는지 점검 (보통 -v 플래그를 써서 mount 명령의 결과를 알고자 할 때 유용 ) -n, --no-mtab : /etc/mtab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 (/etc가 읽기전용 파일시스템인 경우에 필요) -r, --read-only :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 ( 같은 옵션으로 -o ro ) -w, --r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 ( 같은 옵션으로 -o r..
2021.01.06 -
[Network]본딩(Bonding)
[리눅스 본딩 NIC 맥주소 확인 방법] [명령어] #cat /proc/net/bonding/bond0 ※ 일반적으로 ifconfig -all 명령으로 확인을 해도 active중인 nic의 mac 주소만 확인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위 명령어로 확인을해야 bonding진행한 nic의 mac주소를 모두 확인 가능하다. [리눅스에서 본딩 구성하는 방법 (Redhat 계열)]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로 본딩을 구성 1. NIC는 총 4개 2. eth0, eth2를 bond0으로 묶고, eth1, eth3을 bond1로 묶음 3. bond0을 Default Gateway로 잡고 필요한 Static Route는 bond1에 설정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DEV..
202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