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42)
-
[Command]실행명령어1
[윈도우 실행 명령어 모음] 실행 단축키 윈도우키+R appwiz.cpl : 프로그램 설치/제거 Calc : 계산기를 실행시킨다. cleanmgr : 디스크정리 cmd : ms-dos(명령프롬트프)창을 띄워준다.(외웁시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 관리자 dfrg.msc : 디스크 조각 모음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vdplay :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 dxdiag : 다이렉트x 진단도구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그룹 정책 iexplore : 익스플로러를 실행시킨다. ipconfig (dos창모드에서) ~/all , ~/renew :ip 주소확인 lusrmgr.msc : 로컬..
2021.01.12 -
[장애대처]Root 패스워드 분실했을 경우
[Root 패스워드 분실 했을 경우] 1. Linux 부팅을 진행한다. 2. OS 선택 화면에서 e를 입력하여 EDIT 모드로 들어간다. 3. 부팅 이미지 설정 파일에서 LINUX16으로 명시된 줄 제일 뒤 Line에 'rd.break'를 입력한다. 4. Ctrl + x를 눌러 변경사항을 적용하여 부팅을 진행한다. 5. cmd 모드로 들어가면 mount 명령을 쳐서 현재 /sysroot의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된 부분을 확인한다. # mount | grep sysroot 6. /sysroot에 읽기, 쓰기 권한 부여 # mount -o remount,rw /sysroot 7. 권한 부여 된 것을 확인한다. # mount | grep sysroot 8. /sysroot가 파일시스템으로 인식되게 진행한다. ..
2021.01.12 -
[Command]Service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리스트 확인 방법] # sc query | findstr SERVICE_NAME | findstr [서비스 명] ※ 디폴트 설정은 사용중인 서비스 리스트만 나오게 설정되어 있다. [현재 사용중이 아닌 서비스 리스트 확인 방법] # sc query state=inactive | findstr SERVICE_NAME | findstr [서비스 명] 명령어가 아닌 services.msc 창에서 동작 > 목록리스트 내보내기 버튼으로도 내보낼수 있다.
2021.01.12 -
[Command]특정 파일 삭제 Command
[명령어]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delete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exec rm -f {} \; #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명] -mtime +[일] | xargs rm -f [(응용)현재 디렉토리 365일 이상 된 파일 삭제] - 대상 확인 # find ./ -mtime +366 - 파일 삭제 # find ./ -mtime +366 -exec rm -f {} \; [(응용)현재 디렉토리 사이즈 0 파일 삭제] - 대상 확인 # find ./ -size 0 - 파일 삭제 # find ./ -size 0 -exec rm -f {} \;
2021.01.08 -
[Command] net use
[네트워크 공유 확인] # net use [네트워크 공유 연결] # net use [연결하고자하는 공유 경로] /user:[ID] ex) net use \\10.10.10.10/test /user:test [네트워크 공유 끊기] # net use [연결 끊고자 하는 공유 경로] /delete ex) net use \\10.10.10.10/test /delete [네트워크 공유 전체 끊기] # net use * /delete
2021.01.08 -
[구성]repository 구성
[repository 구성] 1). 필요 패키지 설치(ISO 마운트 하여 진행) # yum install createrepo # yum install httpd 2). repository 공간 생성 및 package 파일 저장 # mkdir /repo # rpm 파일 저장 3). repository DB 생성 # cd /repo # createrepo . 4). http 설정 # cd /etc/httpd/conf.d/ # vi repo.conf # Alias [웹 노출 경로] "[repository 경로]" >> 입력 후 저장 ex) Alias /repo "/repo" 5) 서비스 재시작 [Linux 6] # service httpd restart [Linux 7] # systemctl restart h..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