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9. 08:41ㆍOS/Linux
[Route 수동 추가]
route add -net [IP대역(C클래스 대역까지 표시)] netmask 255.255.255.0 gw [통신이 나가야되는 IP GW] dev [NIC 명]
# route add -net 100.100.100.0 netmask 255.255.255.0 gw 100.100.100.1 dev eth1;
[Route 자동 추가]
>> 서버 Reboot 또는 네트워크 재시작을 진행해야 정상 등록됨
※ eth1 NIC의 Routing을 추가하여 원하는 경로로 통신을 하기 위함
1.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이동
2. route-eth1 생성
3. route-eth1 파일에 추가하고자 하는 routing을 입력
ADDRESS0=100.100.100.0
NETMASK0=255.255.255.0
GATEWAY0=100.100.100.1
ADDRESS1=100.100.110.0
NETMASK1=255.255.255.0
GATEWAY1=100.100.110.1
4. 파일에 오타여부 확인 후 서버 Reboot 또는 네트워크 재시작을 진행한다.
# shutdown -r now 또는 init 6 등
# Linux 6 : service network restart / Linux 7 : systemctl restart network
[Route 확인]
# netstat -rn
# route
[수동 Route 삭제]
route del -net [등록된 IP] netmask 255.255.255.0 gw [등록된 GW] dev [NIC 명]
# route del -net 100.100.100.0 netmask 255.255.255.0 gw 100.100.100.1 dev eth1;
# route del -net 100.100.100.0 dev eth1; <= 해당 명령어도 가능
[수동 Routing 명령어가 안먹힐 경우]
ip route del [등록된 IP 대역] dev [NIC 명]
# ip route del 100.100.100.0/24 dev eth1;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vsftp (0) | 2020.06.09 |
---|---|
[Command]maildrop 정리 (0) | 2020.06.09 |
[Command]TCP dump (0) | 2020.06.09 |
[Command]ntp (0) | 2020.06.09 |
[Command]sar 명령어를 통한 모니터링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