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2. 10:10ㆍOS/Linux
[멀티패스 확인 방법]
# lpsci > 각 호스트 파일 접속 후 확인 방법
순서 :
1. # lspci | grep -i fibre 명령으로 카드 확인
2. # cd /sys/class/scsi_host 이동 후 ls -l 로 fc 매칭 호스트 확인
3. # cat /sys/class/scsi_host/host1/device/fc_host/host1/port_name 으로 wwn 확인
[systool을 이용한 방법]
systool -c scsi_host -v 또는 systool -c fc_host -v 명령어를 통해 port_name으로도 wwn을 확인 가능하다.
단, sysutil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systool -vc fc_host | grep -i port_name
[wwn 연결 이후 볼륨 파티셔닝 및 마운팅]
1. fdisk -l로 대상을 조회한다.
(새롭게 추가된 /dev/sdb등)
2. 파티셔닝 되지 않은 블럭디바이스를 선택한다.
# fdisk /dev/sdb
3. 아래 순서로 입력한다.
command : n -> p -> 1 -> enter -> enter 후 w 로 저장
4.. mkfs.ext4 /dev/sdb 명령어로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한다.
(다른 파일시스템으로도 사용 가능)
5. mount 명령으로 원하는 디렉토리에 마은트 한다.
# mount /dev/sdb /data
6. df -hv 로 조회하여 추가된 스토리지를 확인한다.
7. rebooting 이후 에도 상태를 유지하려면 fstab에 등록 진행한다.
# vi /etc/fstab
/dev/sdb /data ext4 defaults 1 2
[포트 상태 확인하기]
# cd /sys/class/fc_host
(host 파일 번호 확인)
# for i in 1 12 13 14; do cat host$i/device/fc_host/host$i/port_state;done;
Onlin / Linkdown 상태 확인
[Storage 조닝 완료 후 rescan 명령어]
1. echo "---" > /sys/class/scsi_host/host#(넘버)/scan
1번 안먹힐시 2번으로 진행
2. echo "1" > /sys/class/fc_host/host3/issue_lip
[multipath 설정시 blacklist 방법]
blacklist란?
multipath 설정시 로컬 디스크가 인식되는 증상을 막기 위해 불필요 디스크 인식을 제어하는기 위한 리스트 목록
[blacklist 목록 확인]
# cat /etc/multipath.conf
[설정 방법 ]
# multipath -v2 (결과 출력)
#lsblk (디스크 목록 확인)
# vi /etc/multipath.conf (wwid를 확인하여 불필요 디스크를 blacklist에 추가)
blacklist{
wwid SIBM-EXXXXXXXX_XXXXXXXXXXXXX
}
# service multipathd reload
# mulitpath -f SIBM-EXXXXXXXX_XXXXXXXXXXXXX (멀티패스 장치를 제거)
# mulitpath -v2 ( 불필요 디스크가 잡히는지 여부 확인)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and]디스크 관련 Command (0) | 2020.06.12 |
---|---|
[Command]디스크 SCSI-3 영구예약자원 확인 (0) | 2020.06.12 |
[개념설명]Log (0) | 2020.06.11 |
[Command]간단 Command (0) | 2020.06.11 |
[Command]iptables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