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1. 10:07ㆍOS/Linux
[NFS 마운트]
우선 서버쪽에 마운트 가능한 스토리지가 있는지 확인
showmount -e [Storage IP]
# showmount -e 192.168.100.10
마운트
mount -t nfs [NAS Storage IP]:[/Storage경로] [Server mount 경로]
IP 주소 : 192.168.100.10
server경로 : /storage
client경로 : /mnt/nfs
#mount -t nfs 192.168.100.10:/storage /mnt/nfs
부팅 후에도 자동 마운트 필요 시 /etc/fstab 에 등록
# vi /etc/fstab
192.168.100.10:/storage /nfs nfs defaults 0 0
추가적으로 설정을 원할 시 defaults 가 있는 자리에 아래와 같은 옵션을 사용
ex) 192.168.100.10:/storage /nfs nfs soft,rw,nosuid 0 0
[자주쓰이는 옵션]
# hard/soft
마운트시킬 때 hard옵션을 준 경우,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응답할 때까지 계속 마운트를 시도하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umount 명령을 이용하여 마운트를 취소할 수도 없게 된다. 마운트의 성공여부가 시스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soft 옵션을 준 경우에는 서버가 응답하지 않으면 어느 정도 융통성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umount 명령을 이용하여 마운트를 취소할 수도 있다.
soft의 경우는 대부분 NF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옵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g
시스템이 부팅할 때 /etc/fstab의 내용을 보고 마운트를 실행하는데 만일 마운트하고자 하는 서버가 지금 NFS 서비스를 할 수 없는 상황일 때 백그라운드 잡(job)으로 마운트를 수행하라는 옵션이다. 타입이 nfs일 경우에는 반드시 이 옵션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NFS는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서버가 응답할 때까지 계속 마운트를 시도하려고 하기 때문에 부팅이 순조롭게 일어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 rw/ro
rw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서버에게서 마운트한 파일 시스템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겠다(read/write)는 옵션이고, ro는 읽기만 할 수 있도록 하겠다(read only)는 옵션이다.
# nosuid
nosuid 옵션은 클라이언트 쪽에서 마운트한 파일 시스템에 있는 setuid 파일을 실행시킬 때 setuid 효과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보안이 중요시되는 서버로부터 마운트해올 경우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옵션이다.
디폴트(default)옵션은 hard, rw, suid이다.
============================================================================
[CIFS 마운트]
mount -t cifs -o user=['사용자이름'],password=['패스워드'] //[Server IP]/[공유폴더] [mount 경로]
사용자 이름 : testuser <== (예시)
패스워드 : 1234 <== (예시)
서버주소 : 192.168.100.20
공유폴더 : cifs-test
마운트 경로 : /mount-test
# mount -t cifs -o user='testuser',password='1234' //192.168.100.20/cifs-test /mount-test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and]간단 Command (0) | 2020.06.11 |
---|---|
[Command]iptables (0) | 2020.06.11 |
[Command]rpm (0) | 2020.06.11 |
[장애대처]Hardware 오류2 (0) | 2020.06.11 |
[Command]telnet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