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and] umount 정리
[umount]
사용법
# umount [파일시스템]
ex) umount /Test
[옵션]
-n : /etc/mtab 파일을 갱신하지 않고 마운트를 해제
-v : 자세한 정보 출력
-a : /etc/mtab 파일에 명시된 모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
-t : 파일시스템의 종류
-at : /etc/mtab파일에 명시도니 모든 파일시스템 중 유저가 입력한 파일시스템만 마운트 해제
[umount 안되는 경우 조치 방법]
1. umount가 되지 않는 경우(busy error 및 해당 파일시스템을 쓰는 경우)
1) 프로세스 및 사용자 확인
# fuser -cu [파일시스템]
# fuser -cu /Test
2) 프로세스 및 사용자를 확인 후 불필요하게 파일시스템을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일 경우 kill 진행
# fuser -ck [파일시스템]
# fuser -ck /Test
※ 중요사항 : 프로세스 번호가 1번일 경우 서버 Down이 발생되니 반드시 확인 후 진행
3) 불필요 프로세스 종료하고, umount 재 수행
# umount /Test
2. NFS 구성 파일시스템이 서버와 mount가 끊겼을 경우
>> NFS의 경우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급작스럽게 mount가 끊기는 경우가 발생, 이 경우 /proc/mounts, /etc/mtab에 정보는 남아 있으나 df -h 로는 확인이 불가능
1) 증상 확인
# df -h
# cat /proc/mounts, cat /etc/mtab
2) umount 시도 > umount 실패
# umount [파일시스템]
ex) umount /Test
3-1) umount 재시도
>> 해당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이 없는 상황에서 진행 필요
(사용중 급작스런 Hang 발생시 fuser 명령으로 프로세스 먼저 kill 필요)
# umount -l [파일시스템]
ex) umount -l /Test
3-2) netfs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netfs restart
4) nfs 파일시스템 연결 해지된 부분 확인
# df -h
# cat /proc/mounts, cat /etc/mtab
https://lascrea.tistory.com/75